감염관리용품 : 마스크
감염관리 전문회사에서 알려드리는 감염관리 용품 선택 방법
마스크의 종류
-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을 의약외품 마스크(약사법에 의거해, 국내 식약처가 관리감독하는
등급)라고 하며, 의약외품 마스크는보건용 마스크와 수술용 마스크로 나뉩니다.
일반인이 비말형태로 감염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예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이 마스크인 것인데, 다양한 종류로 나뉘어져 있어 선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다양한 마스크들이 어떤 방식으로 성능을 인정받았는지, 혹시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내 몸을 지키기위해 사용하는 마스크! 마스크들의 성능을 제대로 알고 자신에게 맞는 마스크를 선택하여 건강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 국내에서 바이러스 방역을 위해 판매되는 마스크들의 종류
식약처 허가 제품에는 모두 의약외품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마스크에 대한 기본 정보
· 마스크의 % 의미
마스크마다 %가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KF80 제품은 0.6um 이상의 입자를 80%이상 차단”한다. 일때, 테스트 방법은 0.04um~1um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투과시키며, 평균 크기가 0.6um인 것입니다. 이때 입자의 80%를 차단한다는 의미이고, 이러한 특성은 다른 모든 마스크에도 공통 적용됩니다.국내 마스크 분진포집효율 테스트 / 비오일성 입자 : 염화나트륨 / 오일성 입자 : 파라핀 오일
· 마스크의 재사용
일회용 마스크일 경우, 몇 시간동안 사용하라는 정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사용자의 사용방식, 호흡량, 주변환경에 따라 마스크의 성능 저하가 천차만별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과한 오염이나, 망가짐, 위험물이 묻은 경우 등은 재사용이 아니라 폐기처분 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20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요구되는 수준
0.1um 크기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을 타고 이동합니다. 비말은 약 5um 이상의 크기 이며, 이 정도 크기를 차단하면 방역이 가능합니다. 비말은 비오일성으로, 오일 성분의 차단 능력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 KF 마스크
- KF는 식약처가 인증한 Korea Filter의 약자이며,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OISH)의 등급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입니다. 보건용 마스크는 KF문자뒤에 숫자를 표시하여 마스크의 성능을 나타 냅니다. 등급은 3개로 나뉘고, 그 등급과 기준은 아래표와 같습니다.
-
KF80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80%이상 차단 (미세먼지와 황사방지용으로 적합)KF94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0.4um의 오일성 입자 94% 이상 차단 (미세먼지와 황사방지용, 방역용으로 적합)KF99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0.4um의 오일성 입자 99% 이상 차단 (미세먼지와 황사방지용, 방역용으로 적합)
-
등급 성능기준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누설률 KF80 80 % 이상 (염화나트륨 시험) 6.2 mmH2O 이하 또는 60 Pa 이하 25 % 이하 KF94 94 %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7.2 mmH2O 이하 또는 70 Pa 이하 11 % 이하 KF99 99 %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10.3 mmH2O 이하 또는 100 Pa 이하 5 % 이하 [ 분진포집효율 : 공기를 들이 마실 때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 / 안면부흡기저항 : 공기를 들이 마실 때 마스크 내부가 받는 저항 / 누설률 :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새는 비율 ]
- % 차단수치가 높을 수록 안면부흡기저항 기준이 높아서 숨쉬기 힘들어 질 수 있고,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자신에게 적합한 마스크를 구매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N95 마스크
- 국내에 없는 N95 등급의 마스크로써,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의 기준을 따르는 마스크 입니다.
-
N95 평균 0.3um의 비 오일성 입자 95% 이상 차단, Not Resistant to Oil (오일 성분에 대해 저항성 없음)
비말은 비오일성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예방이 목적이라면 N95만을 고집할 이유가 없습니다.
- 방진 마스크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관리감독하는 등급의 마스크 입니다. KF 마스크의 기준에 추가적으로 10여 가지 기준을 더 통과하여야 방진마스크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급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0.4um의 오일성 입자 80% 이상 차단 (KF80 에 대응)1급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0.4um의 오일성 입자 94% 이상 차단 (KF94 에 대응)특급 평균 0.6um의 비 오일성 입자, 0.4um의 오일성 입자 99% 이상 차단 (KF99 에 대응)
-
등급 성능기준 분진포집효율 누설률 2급 80 %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25 % 이하 1급 94 %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11 % 이하 특급 99 %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5 % 이하 [ 분진포집효율 : 공기를 들이 마실 때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 / 누설률 :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새는 비율 ]
- % 안면밀착이 KF 마스크보다 잘되기 때문에 방역 능력은 더 뛰어나지만, 착용감은 조금 불편한 편입니다.
- 수술용 마스크 (의료용 마스크)
- 약사법에 의거해 식약처가 관리감독하는 등급의 마스크로써, 액체저항성으로 치료나 수술 시 혈액이나 타액 등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목적으로 주로 병의원에서 사용 합니다.
-
BFE95% BFE는 Bacterial Filtration Efficiency의 약자로 평균 3um 크기의 박테리아를 95% 차단VFE95% VFE는 Virus Filtration Efficiency의 약자로 평균 1.7um 크기의 바이러스를 95% 차단
- % BFE, VFE 는 오염 입자의 여과 효율을 일컫는 말로 필터를 통과할 때 오염 입자가 차단되는 성능을 의미